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희망저축계좌 vs 청년도약계좌, 중복 가입 가능할까? 차이점부터 신청 조건까지 총정리!

by 정책이슈정보톡톡 2025. 4. 11.
반응형

정부는 청년과 저소득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다양한 저축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 중 대표적인 두 가지가 바로 ‘희망저축계좌’‘청년도약계좌’입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이 두 계좌의 차이점과 중복 가입 가능 여부에 대해 헷갈려 하시는데요. 오늘은 그 궁금증을 한 번에 해결해 드리겠습니다!

1. 희망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의 차이점은?

희망저축계좌는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등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정부가 월 최대 30만 원까지 추가 적립해주는 제도입니다. 자립을 목표로 하는 분들에게 적합하며, 일정 기간 근로 및 교육 요건을 충족하면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상: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 지원내용: 본인 납입금 + 정부지원금 (월 최대 30만 원)
  • 적립기간: 3년

청년도약계좌는 만 19~34세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장기 저축 제도로,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정부는 최대 연 240만 원의 지원금을 제공하며, 최대 5년간 유지 시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대상: 만 19~34세, 중위소득 180% 이하
  • 지원내용: 본인 납입금 + 정부지원금 (연 최대 240만 원)
  • 적립기간: 최대 5년

💰 총 수령 가능 금액은?

제도명 지원기간 정부지원금 최대 본인 납입금 총 수령 가능액
희망저축계좌 3년 약 1,080만 원
(월 30만 원 × 36개월)
약 360만 원
(월 10만 원 가정)
약 1,440만 원
청년도약계좌 5년 최대 1,200만 원
(연 240만 원 × 5년)
최대 3,600만 원
(월 60만 원 × 60개월)
최대 약 4,800만 원

* 청년도약계좌는 개인 납입 금액에 따라 총 수령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중복 가입 및 중복 수혜 가능할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두 계좌를 동시에 가입하여 정부지원금을 받는 중복 수혜는 불가능합니다. 동일한 목적의 정부 지원사업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중복으로 지원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청년도약계좌에 가입 중인 경우 희망저축계좌를 신청해도 정부지원금은 받을 수 없습니다. 반대로, 희망저축계좌에 가입 중인 경우에도 청년도약계좌의 혜택은 제한됩니다.

즉, 두 계좌는 “동시 운영은 불가”하지만 “순차적으로는 가능”하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3. 하나가 끝난 후 다른 하나 신청은 가능할까?

가능합니다! 단, 몇 가지 중요한 조건이 있습니다.

  • 먼저 가입한 계좌의 정부지원금 수령이 완료되고 계좌가 정상적으로 종료되어야 합니다.
  • 이후 새로운 계좌의 가입 자격요건을 충족한다면, 두 계좌 모두 순차적으로 가입하여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희망저축계좌를 3년간 유지하여 만기 수령한 뒤, 청년도약계좌의 나이 및 소득 요건을 충족한다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단, 기존 계좌를 중도 해지할 경우 정부지원금은 환수되며, 새로운 계좌 신청에도 제한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리하면?

  • 희망저축계좌와 청년도약계좌는 지원 대상과 조건이 다르다.
  • 두 제도는 동시에 중복 수혜가 불가능하다.
  • 하나가 종료된 후, 자격 요건을 갖추면 다른 하나를 새로 신청할 수 있다.
  • 중도 해지는 정부지원금 환수 대상이므로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다.
  • 총 수령금액은 청년도약계좌가 월 납입 여력이 크다면 더 유리할 수 있다.

두 제도 모두 청년과 저소득층의 자산 형성을 돕는 훌륭한 제도이니, 본인의 현재 소득과 조건, 향후 계획을 잘 따져서 가장 유리한 시점에 활용해보시길 바랍니다!

출처: 복지로,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대상, 신청시기, 신청방법까지 총정리.

아래의 글에서 확인해보세요!

https://dalsu0403.tistory.com/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