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교통비 환급제도 K-패스가 2025년에도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기존 189개 지자체에서 210개 지자체로 확대되어 더 많은 청년들이 교통비를 돌려받을 수 있게 되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확대된 지역 목록, 신청 대상, 방법, 기존 이용자의 행동 요령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K-패스란?
K-패스는 만 19세~34세 청년이 월 21일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최대 월 3만 원까지 교통비를 환급해주는 제도입니다. 환급금은 등록된 계좌로 매월 입금되며, 1년 동안 최대 36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2025년 적용 지역 확대: 어디까지 늘어났을까?
기존 189개 지자체에서 신규 21개 지역이 추가되어 2025년부터 총 210개 지자체에서 K-패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새로 추가된 21개 지자체
- 서울특별시: 전 자치구 (변동 없음)
- 경기도: 연천군, 가평군 등 추가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정선군
- 충청북도: 보은군, 괴산군
- 충청남도: 태안군
- 전라북도: 김제시, 임실군
- 전라남도: 함평군, 장성군
- 경상북도: 문경시, 울릉군
- 경상남도: 하동군, 남해군 등
- 광역시 단위: 광주광역시 전역 포함
(※ 전체 지역 목록은 K-패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신청 시기 및 대상
- 신청 시기: 상시 신청 가능 (연중 내내 가능)
- 지원 대상: 만 19세~34세 청년 중 해당 지자체에 거주하며 월 21일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자
📝 신청 방법
아래 절차를 따라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 K-패스 공식 홈페이지 접속
- 회원가입 및 로그인
- 대중교통 카드 등록 (교통카드 연동 필수)
- 환급받을 계좌 정보 입력
❓기존 K-패스 이용자, 추가 신청해야 할까?
기존 이용자라면 별도 신청 없이 그대로 이용 가능합니다. 다만, 신규 확대 지역 거주자가 처음 신청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신청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본인이 새롭게 적용된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K-패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대상 여부를 확인하고 신청하세요.
💰 K-패스의 장점: 시중 교통비와 비교
일반 청년이 수도권에서 월 약 60,000~80,000원 이상의 교통비를 쓰는 것을 고려하면, 최대 3만 원 환급은 실질적 교통비의 37~50%를 돌려받는 셈입니다. 기존에는 일부 지역에 한정되었지만, 이번 지역 확대를 통해 더 많은 청년이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 마무리 요약
- K-패스, 2025년부터 총 210개 지자체로 확대
- 기존 사용자: 별도 신청 없이 계속 이용 가능
- 신규 적용 지역 청년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신규 신청 필수
- 월 최대 3만 원, 연간 최대 36만 원 교통비 환급 가능
청년들의 교통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K-패스! 자신이 해당 지역에 거주 중이라면 꼭 신청해서 혜택 챙기세요.
🔗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K-패스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