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교통비 지원금 K-패스 적용 지역 210곳으로 확대|기존 사용자 행동 요령까지 총정리

by 정책이슈정보톡톡 2025. 4. 9.
반응형

청년 교통비 환급제도 K-패스가 2025년에도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기존 189개 지자체에서 210개 지자체로 확대되어 더 많은 청년들이 교통비를 돌려받을 수 있게 되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확대된 지역 목록, 신청 대상, 방법, 기존 이용자의 행동 요령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K-패스란?

K-패스는 만 19세~34세 청년이 월 21일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최대 월 3만 원까지 교통비를 환급해주는 제도입니다. 환급금은 등록된 계좌로 매월 입금되며, 1년 동안 최대 36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2025년 적용 지역 확대: 어디까지 늘어났을까?

기존 189개 지자체에서 신규 21개 지역이 추가되어 2025년부터 총 210개 지자체에서 K-패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새로 추가된 21개 지자체

  • 서울특별시: 전 자치구 (변동 없음)
  • 경기도: 연천군, 가평군 등 추가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정선군
  • 충청북도: 보은군, 괴산군
  • 충청남도: 태안군
  • 전라북도: 김제시, 임실군
  • 전라남도: 함평군, 장성군
  • 경상북도: 문경시, 울릉군
  • 경상남도: 하동군, 남해군 등
  • 광역시 단위: 광주광역시 전역 포함

(※ 전체 지역 목록은 K-패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신청 시기 및 대상

  • 신청 시기: 상시 신청 가능 (연중 내내 가능)
  • 지원 대상: 만 19세~34세 청년 중 해당 지자체에 거주하며 월 21일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자

📝 신청 방법

아래 절차를 따라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1. K-패스 공식 홈페이지 접속
  2. 회원가입 및 로그인
  3. 대중교통 카드 등록 (교통카드 연동 필수)
  4. 환급받을 계좌 정보 입력

❓기존 K-패스 이용자, 추가 신청해야 할까?

기존 이용자라면 별도 신청 없이 그대로 이용 가능합니다. 다만, 신규 확대 지역 거주자가 처음 신청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신청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 본인이 새롭게 적용된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 K-패스 공식 홈페이지에서 대상 여부를 확인하고 신청하세요.

💰 K-패스의 장점: 시중 교통비와 비교

일반 청년이 수도권에서 월 약 60,000~80,000원 이상의 교통비를 쓰는 것을 고려하면, 최대 3만 원 환급은 실질적 교통비의 37~50%를 돌려받는 셈입니다. 기존에는 일부 지역에 한정되었지만, 이번 지역 확대를 통해 더 많은 청년이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 마무리 요약

  • K-패스, 2025년부터 총 210개 지자체로 확대
  • 기존 사용자: 별도 신청 없이 계속 이용 가능
  • 신규 적용 지역 청년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신규 신청 필수
  • 월 최대 3만 원, 연간 최대 36만 원 교통비 환급 가능

청년들의 교통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K-패스! 자신이 해당 지역에 거주 중이라면 꼭 신청해서 혜택 챙기세요.

🔗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K-패스 공식 홈페이지